전체 글
-
[스크랩] 초보 개발자가 꼭 알아야 할 정보카테고리 없음 2020. 1. 6. 22:13
https://baejino.com/research/%EA%B0%9C%EB%B0%9C%EC%9E%90%EB%A1%9C-%EC%B7%A8%EC%97%85%ED%95%98%EA%B8%B0-1-%ED%8F%AC%ED%8A%B8%ED%8F%B4%EB%A6%AC%EC%98%A4 위 링크에 들어가면 개발자가 되기위한 준비과정(포트폴리오 등) 과 초보 개발자가 반드시 알아야하는 정보들이 소개되어 있다. 위 링크에서 소개해주는 링크도 정말 도움이 되는 정보라고 생각한다.
-
책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 - 3프로그래밍/AI 2020. 1. 6. 16:11
3장_ 신경망 #신경망 퍼셉트론의 장점 : 복잡한 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 퍼셉트론의 단점 : 가중치를 설정하는 작업(원하는 결과를 출력하도록 가중치 값을 적절히 정하는 작업)은 여전히 사람이 수동으로 해야한다. → 신경망의 등장 신경망의 중요한 성질 : 가중치 매개변수의 적절한 값을 데이터로부터 자동으로 학습하는 능력이 있다. #퍼셉트론과 신경망의 차이 (스크랩한 내용) 앞에서 설명한 퍼셉트론 알고리즘은, 비선형적인 문제를 풀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선형분리가 불가능한 문제는 퍼셉트론 한개가 아니라, 퍼셉트론을 여러개를 조합하는 신경망 알고리즘으로 풀 수 있다. (퍼셉트론 알고리즘과 신경망 알고리즘) → 즉, 퍼셉트론 여려개가 조합된 것이 신경망 알고리즘이라고 할 수 있다. 단순 퍼셉트론 : ..
-
책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 정리 - 2프로그래밍/AI 2020. 1. 6. 16:10
#퍼셉트론 AND 게이트 : 모두 1일 때 1 출력 / 나머지는 모두 0 출력 OR 게이트 : 하나라도 1일 때 1 출력 / 모두 0일 때 0출력 NAND 게이트 : 모두 1일 때 0 출력 / 나머지는 모두 1 출력 XOR 게이트 : 서로 같으면 0 출력 / 서로 다르면 1 출력 학습이란 적적할 매개변수 값을 정하는 작업이다. 퍼셉트론은 수많은 알고리즘 중 하나이다. 가중치(w)는 각 입력 신호가 결과에 주는 영향력(중요도)를 조절하는 매개변수. 편향은 뉴런이 얼마나 쉽게 활성화(결과로 1을 출력)하느냐를 조정하는 매개변수. 파이썬으로 작성한 NAND, AND, OR 게이트는 모두 같은 구조의 퍼셉트론이고, 차이는 가중치와 편향 값을 설정하는 부분뿐이다. 퍼셉트론으로 XOR 게이트를 표현할 순 없다. 선..
-
책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 정리 - 1프로그래밍/AI 2020. 1. 6. 16:05
공부하고 있는 내용을 정리하고자 처음 글을 작성해본다! 연습해야할 페이지 클래스, 함수 정의 : 35p ※ 책에는 코드 한 줄마다 반응하는 '인터프리터'와 실행하려고 할 때마다 코드파일을 저장해야하는 '스크립트 파일' 방법을 제시하는데,사실 정말 불편하고 주피터 노트북, google colab이 바로 실행결과를 알 수 있어 이 방법들이 정말 편하다!주피터 노트북 : 설치해야해Google colab : 설치 안해도 됨! 1장 - 헬로 파이썬 #클래스: __init__ 함수 클래스를 초기화 하는 방법을 정의 = '생성자' 라고도 함클래스의 인스턴스가 만들어질 때 한 번만 불린다. 메서드를 정의할 때는 첫 번째 인수로 자신을 나타내는 self를 명시적으로 적어주어야 한다. #배열: 배열변수 = a 라고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