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04.07 / 삼성전자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 구글 VS 오라클 '자바 사용료 소송'...구글 승소 / 플러터 vs 리액트 네이티브 vs 네이티브내적성장/IT 트렌드(뉴스 스크랩) 2021. 4. 7. 20:23
- 삼성전자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을 통해 지원할 27개 연구 과제 선정
기초과학 분야
류경석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의 인공지능(AI) 학습모델 과제
머신러닝에 쓰이는 다양한 학습모델의 공통점을 세계 최초로 수학적으로 규명하는 연구
소재 분야
남성 불임 등 Y염색체 관련 난임 질환 연구와 맞춤형 의료 서비스
아직 밝혀지지 않은 Y염색체 DNA 서열을 완전 해독하는 게 주된 과제 내용
AI의 개인정보 침해와 성별 등에 대한 편향 문제를 해결
김건희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의 연구
AI 윤리 문제를 극복해 신뢰성을 높이는 게 목표
심전도 뇌전도 등 생체 전기신호를 비접촉 방식으로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과제
김기웅 충북대 전산학부 교수가 맡은 이 과제의 결과는 환자 상태 관찰, 운전자 모니터링 등 의료 분야에 활용될 전망
t.ly/60Q1p삼성전자, AI 학습능력 획기적으로 높인다
삼성전자, AI 학습능력 획기적으로 높인다, 미래기술육성 27개 과제 선정 Y염색체의 DNA 완전 해독 남성 난임 문제 해결도 연구
www.hankyung.com
- 10년 걸린 구글 VS 오라클 '자바 사용료 소송'...구글 승소
미 연방대법원이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의 지식재산권을 보유한 오라클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자바를 이용해 안드로이드 OS를 만듦)를 만든
구글을 상대로 낸 지식재산권 침해 소송에서
6대2로 구글에 승소 판결
t.ly/lmne10년 걸린 구글 VS 오라클 '자바 사용료 소송'...구글 승소
구글과 오라클이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의 지식재산권을 둘러싸고 10년 넘게 벌인 소송에서 결국 구글이 승리했다. AP·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은 5일..
biz.chosun.com
- 플러터 vs 리액트 네이티브 vs 네이티브 (업로드 날짜 : 20.07.29)
(모바일 개발 도구 성능 테스트 및 비교 분석)
<정리>
무거운 애니메이션 → 네이티브 > 플러터 > 리액트 네이티브 (왼쪽이 성능이 가장 높다)
CPU를 아주 많이 사용하는 작업 → 리액트 네이티브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확실히 좋으며
CPU와 메모리를 모두 고려한 작업 → 플러터가 가장 뛰어났습니다.
한 개의 플랫폼에서만 MVP(최소기능제품)를 개발하고자 하는 경우 → 네이티브 환경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모바일과 웹, 데스크톱 환경을 모두 지원하기 위해서는 → 플러터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크로스플랫폼 개발에 있어서는 → 조만간 플러터가 왕좌에 오를 것으로 보입니다
t.ly/7SQz플러터 vs 리액트 네이티브 vs 네이티브, 성능이 더 우수한 것은? | 요즘IT
비교의 목적은 우리가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거나 경력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플러터(Flutter), 리액트 네이티브(React Native), 또는 네이티브 앱(Native app, 플랫폼의 OS에 맞는 언어로 제작된 앱) 중에서
www.wishket.com
'내적성장 > IT 트렌드(뉴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